본문 바로가기

세상 구경하기 /세상은 요지경

[스크랩] 나중에 후회하기 전에 다들 꼭 한번씩 읽어봐, 지금 대한민국이 얼마나 위험한지



고리원전 간부들, 사고직후 은폐 모의 드러나


지난달 9일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에서 발생한 전원 중단사고 수습 직후 발전소장을 비롯한 간부들이 회의를 열어 은폐를 모의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고리 1호기 관계자는 14일 "지난달 9일 사고 수습 직후인 오후 9시에서 9시30분 사이 발전소장과 실장, 팀장 등 간부들이 현장에서 논의, 이번 사고를 보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1주년을 앞둔 시점에서 노후 원전인 고리1호기의 사고 사실이 알려졌을 때 미칠 엄청난 사회적 파장이 부담이 돼 그런 결정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고리 원전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안전위)에서 파견한 주재관 1명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주재원 4명이 상주하고 있으나, 이들이 퇴근한 뒤 사고가 일어나 까맣게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주재원은 "주재원들이 퇴근한 뒤라도 전화로 알렸어야 하는데 보고를 전혀 받지 못했고, 다음날 확인한 운전일지에도 정상 운영됐다고 적혀 있었다"고 말했다.


영영 묻힐 뻔했던 사고는 부산시의회 김수근 의원(기장2)이 우연히 사고 소식을 접하고 문의하는 과정에서 뒤늦게 보고됐다.

김 의원은, 지난달 20일쯤 한 식당에서 옆 테이블에 있던 손님들이 '고리1호기에서 사고가 났다'고 말하는 것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이 이야기를 뜬소문으로 여기다 이달 8일 고리원자력본부를 방문해 문의했고 10일에야 새로 부임한 고리본부장이 김종신 사장에게 전화보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20315091539236&p=nocut




 


 

술자리서 들킨 고리원전 정전사고

"그얘기 들었어? 전원 나갔는데… 비상발전기가 안돌았대"
한달전 김수근 부산시의원, 옆자리 얘기 듣고 확인나서
2012.03.15 08:22
영원히 묻혀버릴 뻔한 고리 원전 1호기 블랙아웃(station blackout·원전 대정전) 사건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지역 시의원이 우연히 술자리에서 들은 한마디가 결정적인 단서가 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리 1호기는 지난달 9일 원자로를 멈추고 정기 점검을 하던 중, 작업자 실수로 12분간 외부 전원이 완전히 끊기고 비상 발전기마저 가동되지 않았다. 전원 중단이 며칠간 지속됐다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재앙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

김수근(金秀根·52) 부산시의회 의원(기장군· 새누리당 )은 14일 본지와 통화에서 "지난 2월 20일 기장군의 한 작은 식당에서 아는 분들과 식사를 겸한 간단한 술자리를 갖고 있었는데 옆자리에서 '원전 전원이 차단됐는데 비상 발전기가 안 돌았다. 아무 상관이 없나' 하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기장군 토박이인 김 의원은 평소 원전 주변 식당을 자주 찾았고 원전 직원들과도 안면이 많았다. 그런데 그날은 낯선 사람들이 원전 이야기를 하고 있어 더 귀담아들었다는 것이다. 당시 고리 원전은 1년에 한 번 하는 정기 점검 기간이었기 때문에 외부 용역 업체 직원이 상당수 파견돼 있었다고 한다.

김 의원은 "그날부터 탐문을 했는데 사고를 아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며 "고리 환경 민간 감시기구는 원전과 관련된 아주 사소한 일까지 문자로 보내주는데 그쪽에서도 아무런 소식이 없었다"고 말했다. "후쿠시마 사고 1주년이 다가오는데 없는 사고가 소문으로 떠돌면 문제가 되겠다 싶었어요. 원전 측에 직접 확인을 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침 3월 2일 고리 원자력대학원 입학식이 있었다. 김 의원은 "입학식에서 정영익 고리 본부장을 만나 할 이야기가 있다고 했더니, 그는 '오늘 다른 곳으로 발령이 났다'며 답변을 피했다"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당시 고리 원전의 총책임자인 정 본부장과 사고가 난 고리 1호기의 실무 책임자인 문병위 제1 발전소장이 동시에 다른 곳으로 전출됐다.

이를 의아하게 여긴 김 의원은 7일 고리 원전에 남아 있는 김기홍 경영지원처장에게 연락했다. 김 의원은 "다음 날(8일) 오후 1시 30분쯤 그를 만나 '전원 차단 소문이 도니 확인해보라'고 전했다"며 "그날 이후 아무런 연락이 없었고 13일 언론 보도를 통해서야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결국 김 의원이 원전 사고를 파고들자 고리 원전 측이 서둘러 공개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는 "발전소장이 혼자서 사고를 덮었다는데, 원전 지휘 체계상 상급자가 모를 리 없다"고 말했다.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안전정책국장은 14일 "좀 더 조사해봐야 하지만 현재까지 사고 당시에 기록을 남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장 실무진 수준의 은폐인지, 더 높은 선의 지시인지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http://media.daum.net/society/environment/newsview?newsid=20120315032104208 조선일보





 

 

[사설]후쿠시마 악몽 떠올린 고리 원전 사고

2012.03.14 21:55

 


고리 원전 1호기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달 9일 오후 8시34분이다. 정비를 위해 2개의 외부전원 가운데 한개를 끊어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개가 조작 실수로 연결이 안됐다고 한다. 비상 디젤 발전기 2대와 예비비상 발전기 1대가 있었지만 삼중, 사중으로 구비해놓은 안전시스템은 12분 동안 작동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냉각수가 순환되지 않아 자칫 후쿠시마에서처럼 원자로 노심이 녹는 중대사고로 확대될 수도 있는 위기의 순간을 간신히 넘긴 것이다. 원전은 전력공급이 끊기면 원자폭탄으로 돌변한다.


http://media.daum.net/editorial/editorial/view.html?cateid=1053&newsid=20120314213019997&p=khan






 

폐쇄비용만 15조. 그래도 원전이 싸다고?

2011.10.21 09:11

우리나라에서 '폐로 1순위'인 원전은 1977년 최초로 운전에 들어간 고리 1호기. 설계 수명 30년으로 2007년에 수명이 다했지만 정부는 '10년 연장 가동'을 결정했다. 2017년, 앞으로 6년 뒤에는 다시 폐로 시점이 돌아온다. 이 고리1호기를 폐로한다고 가정한다면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 환경운동연합과 민주당 강창일 의원실이 최근 작성한 <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로 비용 추산 및 준비 정도 평가 > 보고서에 따르면 최소 2211억원, 최대 9861억원이 든다(아래 표 참조).

먼저 최소 비용은 2005년 한국수력원자력이 작성한 < 원전 폐로 정책 및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사전 연구 > 에 따른 것이다. 이 보고서가 추산한 고리1호기의 폐로 비용은 약 1억8800만 달러(약 2211억원). 원전 해체 비용 충당금 산정 기준을 정한 지식경제부 고시 제2008-227호에서는 철거비를 한 호기에 3251억원(불변 가격)으로 잡고 있다. 밀폐 관리에 1436억원, 철거 및 대지 복원에 1089억원, 철거 폐기물 처분에 726억원이 든다는 계산이다.

경험적인 '평균가'로 계산하는 방법도 있다. 2003년 OECD 원자력기구(Nuclear Energy Agency)는 14개국 79개 원전의 철거비를 분석한 보고서를 냈는데, 이에 따르면 가압경수로(PWR)형 원전 폐로 비용은 평균 320달러/㎾이다. 이를 토대로 용량 58만7000㎾에 달하는 고리1호기의 폐로 비용을 계산해보면 약 2366억원이 나온다. 이 비용은 2001년을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이니 지난 10년간 물가상승률 36.8%를 반영하면 고리1호기의 폐로 비용은 3237억원으로 늘어난다.

그런가 하면 2001년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 발간한 자료 < nuclearPower in OECD > 는 한국 고리1호기의 설비용량당(㎿) 폐로 비용을 약 101만 달러(1999년 기준)로 보았다. 전체 설비용량으로 계산하면 7090억원,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9861억원에 이른다. 원전 한 호기 철거에 1조원에 이르는 돈이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 비용 역시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원전이 위험한 것은 그곳에서 쓰고 남은 폐 핵연료와 작업복·신발·부품·공구 등 각종 물품에서 뿜어내는 방사능(중저준위 폐기물) 때문이다. 그래서 핵연료와 중저준위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비용까지 함께 산정해야 진짜 원전의 경제성을 따질 수 있는 것이다.

시사인기산데 전문 읽어보시면 좋을거 같긔.

+문책은 커녕 위기관리실장 됐긔.

[단독]‘原電정전’ 보고 누락자를 위기관리실장 임명

한수원, 사실파악 못한채 고리1발전소장 본사 중책 발령
국내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고리원전 사고를 보고하지 않고 은폐를 시도한 현장 책임자를 본사의 위기관리실장에 임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고리원전 정전 사태가 벌어진 지난달 9일은 오후 정전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오전에 정부와 한수원이 '원전 고장 정지 재발 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한 날이어서 원전 당국의 위기관리 체계에 구멍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한수원에 따르면 당시 고리 1호기를 책임진 문병위 고리제1발전소장은 사고 발생 직후 15분 안에 '백색 비상 발령'(위기경보 3단계 중 가장 아래 단계)을 내려야 함에도 이를 무시한 채 상급자인 정영익 고리원자력본부장에게도 보고하지 않았다. 문제는 이 내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한수원이 이달 2일 정기인사를 발표하면서 문 소장을 본사 위기관리실장으로 발령했다는 것이다.


본사 위기관리실장은 원전 사고를 비롯해 회사의 전반적인 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관련 내용을 정부 부처 등 외부 기관에 전파하는 직위로 1급 간부가 가는 자리다. 중대한 원전 사고를 맞아 기본적인 보고 의무마저 지키지 않은 인물을 위기관리실장에 임명한 것이다.

지식경제부 고위 관계자는 "직전 위기관리실장은 '1급을' 직급의 간부가 맡고 있었다"며 "'1급갑'이던 문 소장이 사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러 위기관리실장에 지원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 소장은 정년퇴직을 2년 정도 앞둔 상황이다.

주무 부처인 지경부는 이번 정전사고가 발생한 날이 2월 9일이라는 점에도 크게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울진원전 1호기, 4호기와 고리 3호기, 월성 1호기 등이 줄줄이 고장난 것과 관련해 정부와 한수원이 합동으로 원전 고장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은 날이기 때문이다. 김종신 한수원 사장이 오전에 브리핑을 마치기가 무섭게 보란 듯이 이날 오후 8시 34분에 대형 사고가 터져 정부 대책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선 노후 원전의 계속되는 고장 결함에 대해 정부가 구조적인 문제를 정밀하게 들여다보지 않고 무조건 책임자 처벌만 내세운 게 오히려 화를 키운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문 소장은 13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상부에 보고하지 않은 이유를 묻자 "고리 1호기를 안전하게 잘 돌려야 된다는 심리적 압박감이 너무 컸다"고 토로했다.

김 사장도 1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30년 수명이 다된) 고리 1호기의 수명을 연장하면서 비판 여론이 있었던 데다 후쿠시마 사태, 핵안보정상회의 등과 맞물려 책임자가 굉장한 심리적 부담을 느껴 바른 판단을 내리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자신의 향후 거취와 관련해서는 "총체적으로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태는 마치 군대에서 통수권이 잘 지켜지지 않은 것과 같다"며 "원전은 안전성과 투명성이 있어야 하는데 굉장히 자괴감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보고 시점에 대해선 "지난주 토요일(10일) 신임 고리원자력본부장에게서 '보고할 게 있다'는 말을 듣고 다음 날 오후 4, 5시경 본부장과 발전소장을 만나 사고 내용을 전달받았다"며 "지경부와 원자력안전위 등 정부 당국에는 12일 정식으로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사고 당시 비상디젤발전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원인은 압축공기에 있던 이물질 때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고리원전 폭발하면 3시간 내 부산 전역 피폭"
2011년 4월 1일


고리원전에 일본 후쿠시마 원전과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성 물질이 부산시를 뒤덮는데 3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시민사회연구원과 동아시아미래재단이 1일 마련한 '부산의 긴급 현안과 대안 마련을 위한 공동 토론회'에서 볼트시뮬레이션 김석철 대표는 고리원전 누출 사고시 부산 지역 방사능 피폭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시민단체 토론회서 시뮬레이션 공개 
금정산 동편, 방사선 종사자 연간 피폭량 육박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사용하는 NBC-RAMS 통합화생방시스템 기본 모델을 이용해 실시된 이번 시뮬레이션은 고리원전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후쿠시마 원전과 동일한 양의 방사성 요오드가 상공 100m까지 도달했다는 조건 하에서 이루어 졌다. 

김 대표는 부산기상청의 관측자료를 토대로 기장군 일대에서 가장 잦은 풍향을 동북동, 북동, 북북동 세 가지로 압축하고 이를 월별로 대입했다. 그 결과 사고 발생시 가장 빠르고 광범위하게 방사성 요오드가 부산에 확산되는 시기는 동북동 쪽에서 주로 바람이 불어오는 8~10월 사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방사선 피폭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금정산 동편으로 밝혀졌다. 밤중에 동북동 쪽에서 바람이 불 때 후쿠시마 원전과 동일한 누출사고가 벌어지면 이 지역의 피폭선량은 38mSv였다. 정상인이 1회 X-레이 검진을 받을 때 받는 피폭선량은 0.6mSv로 이는 방사선 종사자의 연간 피폭선량에 육박하는 수치다.


고리1호기

부산 동해안에 있는 고리1호기에 체르노빌 수준의 폭발사고가 발생했을 경우다.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 상황에서 피해면적 자체는 영광1호기의 경우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여서, 1단계가 반경 1.8㎞, 2단계 2㎞, 3단계 3.7㎞, 4단계 5.7㎞, 5단계 17㎞, 6단계가 38㎞에 달한다.

문제는 마지막 6단계의 경우 인구 밀집지역인 울산과 부산, 김해 등이 상당부분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오염면적은 영광1호기에 비해 좁지만 HPAC가 도출해낸 인명피해 숫자는 훨씬 크다. 일단 3864명이 사망하고, 5323명이 사망확률이 50%에 달하는 방사선에 피폭되며, 1만5200명이 30일 이내에 사망할 수 있다. 10년 이내 사망하는 숫자는 무려 3만9100명. 후유증과 유전질환으로 고통 받게 될 경상남도 일대 주민이 24만6000명에 달한다. ICRP 허용기준치인 0.5rem 이상의 방사능에 노출돼 어떤 식으로든 피해를 입는 인원의 규모는 총 159만명에 달한다는 것이다.

영광과 마찬가지로 고리1호기에서 수도권을 향해 초속 3m의 바람이 꾸준히 불었을 경우를 상정해보았다. 이 경우 10년 이내 사망할 수 있는 4단계 수준의 방사능 물질이 밀양 일부 지역에까지 이르고, 후유증과 유전질환을 남기는 5단계 방사선은 청도와 대구, 칠곡을 넘어 구미에까지 이른다. ICRP 허용치 이상의 방사능은 경북과 충북을 관통해 경기도 동남부의 여주, 이천, 광주 등을 거쳐 영향을 미치고, 바람 방향에 따라 서울 대부분 지역에도 닿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떻게든 방사선 피해를 입는 사람의 수는 500만명이 넘는다. 다만 서울 인근까지 날아오는 방사능 물질의 양은 0.5~1rem 수준으로 허용치를 약간 넘는 정도다.

고리1호기 폭발 시 주변지역 최대 피해범위 및 피폭인원


 

서병수 새누리당 의원이 부산시장 출마 선언을 앞두고 서의원의 측근이 한수원 비리와 연관, 유죄가 선고됨으로써 최대의 난관에 봉착했다.


 

울산지법 제1형사부는 28일 지난 24일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서 의원 보좌관 박모씨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1800만원을 선고했다고 밝혔다.


 

재판부 판결부에 따르면 박씨는 지난 2009년 9월 부산 모 호텔에서 원전브로커인 이모씨와 당시 고리원자력 본부장인 전모씨를 만나, 승진 청탁을 했다.


 

승진 청탁을 받은 보좌관 박모씨는 여러차례 만나 오다가 2009년 11월 브로커 이모씨에게 전화로 통화하면서 현금 1000만원을 가져오라고 말했고, 부산 해운대 지역구 사무실에서 이모씨로부터 5만원짜리 현금 1000만원을 받았다.


 

또한 그 다음해 1월에도 현금 800만원을 자신의 승용차 안에서 돈을 받았다. 박씨는 금품 수수 사실을 부인했으나 재판부는 사건 관계인들의 진술이 일관된 점 등을 들어 박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혐의를 인정했다.


 

특히 박씨는 서 의원의 지역구 사무국장으로서 해운대구청장 후보로 거론되는 상황이어서 서 의원 측은 지역민의 반응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에 민주당 부산시당은 이 사건을 놓고 성명서를 통해서 "새누리당의 가장 유력한 부산시장 후보중 한사람인 서의원의 최측근 보좌관이 그것도 부산시민이 가장 불안해하는 원전안전 부실을 초래한 비리의 중심에 있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서의원은 더 이상 부산을 위한다는 말을 입에 담을 자격조차 없다"고 발표했다.


 

또한 민주당은 "360만 부산시민의 불안감을 불모로 금품을 수수한 최측근의 비리행위는 나몰라라 사과 한마디 없고, 박대통령 그림자 뒤에 숨어, 대통령특사니, 부산 시장후보니 떠들고 다니는 모양새가 영 부끄럽기 짝이 없다"고 비난했다.


 

민주당 부산시당 박재호 위원장은 "서의원 귀국 즉시 부산시민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모든 공직에서 물러날 것을 촉구한다. 그것만이 그동안 서의원을 믿고 지지해준 부산시민과 지역구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라고 말하며, "친박 핵심의 최측근 연루 사건에 대해 수사기관의 기소내용 축소 등 정권차원의 비호가 의심되는 만큼, 수사기관의 철저한 수사를 통해 한점 의혹없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아고라 청원 서명입니다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petition/read?bbsId=P001&articleId=153060&objCate1=1&pageIndex=1

 

청와대 국민신문고 민원신청입니다
★꼭 해주세요
https://www.epeople.go.kr/jsp/user/pc/cvreq/UPcCvreqForm.jsp?flag=N&

민원발생지역은 부산 기장군이며

처리기관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부산시청 둘 다 해주세요

 

실질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입니다
http://www.nssc.go.kr/nssc/participation/freeboard.jsp

 
고리원전 게시판입니다

http://www.khnp.co.kr/korinew/kori_2011/community/community04.jsp

 
그것이알고싶다 게시판 입니다

http://nbbs3.sbs.co.kr/index.jsp?code=tb_wantknowd1

파급력이 큰 방송이니 만큼 꼭 써주시길 바랍니다

 

부탁드립니다

서명만이 답이 아니니 제발,

페이스북으로도 많이 좀 퍼트려주시고

다른 카페로도 많이 좀 옮겨주시길 바랍니다 ㅠㅠ










※출처 : 쭉빵카페  /// 페이스북 페이지로의 무단스크랩을 금지합니다


출처 : 쭉빵카페
글쓴이 : 지키고싶어라 원글보기
메모 :